배경
메뉴열기

공익웹진

  •  
     
     
    
    의왕시 내손동. 오래된 주택과 신도시 아파트가 공존하는 이 마을에는 ‘골목에서 피어난 예술’이 있다. 그 시작은 한 예술가의 조용한 시도였다. 그리고 10년 가까운 시간 동안, 골목은 전시장으로, 주민은 예술가로 변해갔다. ‘내손반디불’이라는 이름으로 자리 잡은 이 문화공동체의 시작과 철학을 대표 박준하 작가이자 대표에게 직접 들어보았다.
     
     
    박준하 작가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Q. ‘내손반디불’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독일에서 공부할 때 그들이 가진 문화와 예술에 대한 생각이 무척 단단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그런 자존심과 자긍심을 한국에 돌아와서 제가 하는 예술 활동을 통해서 알리고 전파하고 싶었습니다. 우리나라 근대 문화의 역사를 되살리고 싶었습니다.
     
    Q. 오픈 스튜디오에서 시작된 활동이 공동체 문화 예술로 확장되었네요.
    (‘내손에 반딧불’, 박준하 작가의 오픈 스튜디오 이름이다.)
    아무리 작은 빛이라고 해도 어둠에 삼켜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물리적인 빛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희망을 은유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2017년 10월, 선선한 토요일 오후에 열린 의왕 <반딧불 축제>와 잘 어울리는 말입니다. 그날 저녁 축제 장소인 ‘내손동 에너지연구원 앞 공터’에서는 400여 개가 넘는 빛 우산과 작은 등불들이 수놓아졌습니다. 작은 빛들이 모여 커다란 빛으로 마을을 비추는 모습이 주민들 간의 정다운 관계를 시각화한 모양처럼 보이기도 했습니다.
     
     
     
     내손동 마을 축제 사진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Q. ‘내손의 반딧불 축제’는 어떤 행사인가요?
    <반딧불 축제>는 의왕시 내손동의 지역 문화공간인 ‘내손의 반딧불’이 경기 생활문화 플랫폼 사업으로 진행한 <내손안의 내손동>의 결실을 맺는 축제입니다. ‘내손의 반딧불’이 추구하는 것은 지역주민들에게 예술적 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며, 예술이 생활과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었습니다. 눈여겨볼 만한 ‘빛’으로는 주민들이 직접 만든 반딧불이 등만이 끝은 아니었습니다. 마을의 건물들을 미디어 파사드로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이 그간 일상을 담아 만든 영상과 기록 영상, 작가들의 작품 등을 모아 상영했습니다.
     
     
    갈뫼 작은도서관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Q. 작은 도서관을 운영하고 계신데 아카이브 활동도 하시나요?
    예술 활동을 하면서 창작하는 일이 굉장히 어려워요. 그리고 그런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책을 가까이하고 읽는 습관을 갖는 거죠. 제 딸이 자연스럽게 책을 친구처럼 여기고 자주 들여다보며 친근하게 지낼 수 있는 벗을 만들어 주고 싶었어요.
    이곳은 어르신들에게는 자신 이야기를 포토에세이 책으로 펴낼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청소년들에게는 언제든지 와서 자신의 생각을 펼치고 자신의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공간도 되기도 합니다.
     
     
      
    갈뫼 작은도서관에서 청소년들의 활동 모습과 작품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Q. 이 활동이 10년 가까이 지속된 비결은 무엇일까요?
    두 가지예요. 하나는 ‘지속성’, 다른 하나는 ‘주민성’이에요. 매년 조금씩이라도 멈추지 않고 했다는 점. 그리고 늘 주민이 주체였다는 점이 우리 공동체를 지켜준 힘이었어요. 지원이 없던 해도 있었지만 작게라도, 같이, 꾸준히 해왔습니다.
     
    Q. 앞으로 내손반디불이 지향하는 방향이 있다면?
    ‘예술의 생활화’와 ‘생활의 예술화’예요. 예술이 일부 사람들의 일이 아니라, 누구나 할 수 있고, 삶이 예술이 되는 경험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평생학습을 통한 의왕시 동아리들과 연대하여 그 가치가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기를 지향합니다. 그게 우리가 지난 10년 동안 해온 일이자, 앞으로도 해나갈 길입니다. 내손반디불이 그걸 보여주는 작지만 확실한 모델이 되기를 바랍니다.
     
     
     
    오는 8월 31일, 갈뫼 작은 도서관에서 청소년들이 직접 창작한 대본으로 꾸미는 AI 활용 청소년연극제가 개최될 예정이다.
     
    반딧불은 작다. 하지만 어두운 밤을 밝힌다. 박준하 작가와 내손반디불이 그려온 10년의 궤적은, 예술이 어떻게 삶을 바꾸고 공동체를 잇는지에 대한 살아있는 기록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내손동 골목 어딘가에서 조용히 빛나고 있을 그 반딧불의 불빛을, 우리는 더 많은 지역에서 마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라지는 골목에서 다시 태어난 예술
    럭비공

    조회수 37

    2025-08-14
  • 연번
  • 제목
  • 작성자
  • 날짜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