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메뉴열기

철도관사 마을의 역사, 사람, 일상이 연결되는 배움의 공간

작성자: 럭비공 / 날짜: 2025-11-24 / 조회수: 65
 
 
 
 

의왕시 삼동별별학습마을
― 일상의 배움을 꽃피우는 주민 주도 평생학습 공동체
 
도시의 변화는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의왕시 부곡동은 철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 구조와 오래된 철도 관사(官舍) 마을을 품고 있는 지역으로, 한국 철도 산업의 흔적과 함께 지난 세대들의 삶이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철도 관사 건물의 노후화, 인구 감소, 공동체 약화 등 도시재생이 필요한 문제들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적 맥락 속에서 삼동별별학습마을은 단순한 주민 프로그램을 넘어, 마을의 새로운 활력과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는 이정진 대표 인터뷰를 바탕으로, 마을학습공동체가 어떻게 지역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부곡동 철도사관 문제1)와 도시재생 필요성과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
 
Q. 부곡동의 도시재생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계십니까?
 
“부곡동의 문제는 단순한 노후화가 아니라 관계의 약화입니다.”
 
 
이정진 부곡향토문화연구회 대표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이 대표는 부곡동의 문제를 ‘물리적 노후화’보다 ‘관계 구조의 약화’에서 찾고 계셨습니다.
“철도 관사라는 건물은 단순히 오래된 집이 아닙니다. 철도공무원들의 공동체, 생활 문화, 상호 의지의 흔적이 담긴 공간입니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며 사람들이 떠나고, 그때의 관계망이 약해졌습니다. 결국 건물이 아니라 사람의 연결이 더 크게 무너진 셈입니다.”
도시재생을 건물 수리나 인프라 개선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과거 공동체의 힘이 사라진 자리에 새로운 관계망을 복원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은 동네에 다시 ‘사람의 흐름’을 만드는 일입니다.”
- 마을학습공동체 역할에 대한 견해
 
삼동별별학습마을은 “배움이 일어나는 마을”이라는 이름처럼, 주민들이 다시 모이고 연결되는 장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마을 학습은 누군가의 전문성을 전달하는 형태도 있지만, 사실은 주민들이 서로 만나는 과정입니다. 얼굴을 알고, 함께 시간을 보내고, 서로 돕고 묻는 과정에서 공동체가 다시 살아납니다. 우리 마을에 필요한 것도 바로 그 힘입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에서 진행 중인 공동체 활동은 단순한 프로그램 참여가 아니라, 지역 주민이 서로의 일상과 감정, 관심사를 공유하는 새로운 ‘관계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
“오래된 관사의 구조가 그대로 남아 있더라도, 그 속에 머무는 사람의 온기가 없다면 그 공간은 의미를 잃습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은 그 빈자리를 다시 채우고 있는 셈입니다.”
 
이 대표는 이를 ‘사람의 흐름 회복’이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철도 관사의 역사와 기억을 되살리는 것이 곧 도시재생입니다.”
- 지역 역사 교육과 공간의 재발견
 
 
 
 
의왕시 부곡철도관사 기록책 사진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이 대표는 철도 관사 마을을 단순한 개발 대상이 아니라 지역 역사 자산으로 바라보고 계셨습니다.
 
“관사 마을은 사라질 공간이 아닙니다. 보존과 활용이 동시에 필요한 곳입니다. 주민들이 그 공간을 단순히 ‘낡은 집’이 아닌 ‘우리의 역사’로 인식하게 되는 순간, 재생의 방향도 달라집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에서는 ▲철도 산업 역사 교육 ▲관사 마을 기록 아카이브 ▲어르신 기억 채록 프로젝트 ▲동네 곳곳 ‘이야기 지도’ 만들기 등을 통해 공간이 가진 의미를 재발견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도시재생은 물리적 변화보다 정서적·역사적 의미 회복이 먼저라고 강조하셨습니다.
 
 
“도시재생은 행정이 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이 함께 만드는 것입니다.”
- 협치와 시민참여의 중요성
 
이 대표는 인터뷰 내내 ‘주민 참여’의 중요성을 반복해서 강조하셨습니다.
“도시재생은 행정에서 계획하고 주민이 따라가는 방식으로는 오래가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그 동네에서 사는 사람들,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주민들이 중심이 돼야 합니다. 우리는 그 과정을 돕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은 주민 주도로 ▲학습 모임을 만들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동네 자원을 직접 발굴하며 ▲필요한 경우 행정에 의견을 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도시재생의 초석을 다지고 있습니다.”
 
 
 
마을학습공동체 운영 사진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의왕 부곡철도관사 / 사진출처: 에디터 직접 촬영
 
 
삼동별별학습마을이 만들어가는 변화는 거창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 변화는 가장 밑바닥에서 시작되는 변화, 다시 말해 ‘마을의 체온’이 살아나는 변화입니다. 철도 관사 마을은 한 세대의 역사가 응축된 소중한 자산입니다. 그리고 그 자산이 미래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과거의 공동체 정신이 새로운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삼동별별학습마을은 바로 그 지점에서 부곡동의 미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부곡동의 미래는 ‘새로운 건물’이 아니라 ‘새로운 관계’에서 시작된다는 조용하지만 강한 플랫폼이었습니다.

-

 
첨부파일